공학속으로/운영체제29 [리눅스] VI 사용법 ○ 명령모드 → 입력모드로 전환a : 현재 커서 다음 칸부터 입력A : 현재 커서의 줄 맨 마지막 부터 입력i : 현재 커서 위치부터 입력I : 현재 커서줄의 맨 앞부터 입력o : 현재 커서의 다음 줄에 입력O : 현재 커서의 이전 줄에 입력s : 현재 커서 위치의 한 글자를 지우고 입력S : 현재 커서의 한 줄을 지우고 입력○ 입력모드 → 명령모드로 전환ESC키○ 커서 이동h : 커서를 왼쪽으로 한칸 이동 ( ← )j : 커서를 아래로 한 칸 이동 ( ↓ )k : 커서를 위로 한 칸 이동 ( ↑ ) l : 커서를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 → )w : 다음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b : 이전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 : 행의 첫 글자로 이동$ : 행의 마지막 글자로 이동gg : 처음 행으로 이동G : ..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4. 9. 10. raw vmdk 등 이미지 파일 포멧 변환 qemu-img convert변환가능 확장자: raw, qcow2, qed, vdi, vmdk, vhdqemu-img 변환 명령은 qcow2, qed, raw, vdi, vhd 및 vmdk를 포함한 여러 형식 간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①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vmdk 이미지 파일을 raw 이미지 파일로 변환합니다.qemu-img convert -f vmdk -O raw image.vmdk image.img ②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vmdk 이미지 파일을 qcow2 이미지 파일로 변환합니다.qemu-img convert -f vmdk -O qcow2 image.vmdk image.qcow2 Note -f 형식 플래그는 선택 사항입니다. 생략하면 qemu-img가 이미지 형식을 유추하려고 시도합니..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4. 8. 13. 가상서버 안전모드 진입하기 1. Shift 키 + '다시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2. 옵션 선택(Choose an option) > 문제해결 (Troubleshoot) 메뉴 선택 3. 문제해결 (Troubleshoot) > 고급 옵션(Advanced options) 메뉴 선택 4. Startup settings (시작 설정) 이나 명령 프롬프트 선택 : 시작 설정은 초기화를 말하는 것이며, 명령 프롬프트 선택은 CMD 창을 띄우는 것을 말합니다. 5. 명령 프롬프트에서 수정작업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4. 8. 10. 하드디스크 폐기위한 로우 포멧하는 방법 - DISKPART 로우 포멧(Low Leve Format) 이란? 로우 레벨 포맷은 기존의 파일만 지우던 포멧과는 달리 사용했던 흔적까지 지우는 방법입니다. 데이터 구조를 파괴하는 방식이라서 데이터 복구가 어렵다고 합니다. 로우 레벨 포맷을 위해 별도의 소프트웨어도 있지만,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윈도우 OS 에서 제공해주는 diskpart 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로우 포멧(Low Leve Format) 방법 ▶ DISKPART 윈도우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띄운 뒤 'diskpart' 를 눌러 프로그램을 실행시킵니다. (※cmd 창을 띄워서 'diskpart' 를 실행가능) diskpart 안에서 list disk 명령어를 통해 장착된 디스크 정보를 확인합니다. DISKPART> list disk ▶ 디스크 번호 확인 방..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4. 3. 21. [리눅스] tar 압축, 해제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tar.gz나 tar로 압축 하거나 압축을 풀어야 할 경우가 자주 생깁니다. tar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과 옵션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tar로 압축하기 > tar -cvf "파일명.tar" "폴더명" ex) 'var'라는 폴더를 'var.tar'로 압축해제 tar -cvf var.tar var 2. tar로 압축풀기 tar -xvf "파일명.tar" ex) 'var.tar' 파일 압축 tar -xvf var.tar 3. tar.gz로 압축하기 tar -zcvf "파일명.tar.gz" "폴더명" ex) 'var'라는 폴더를 'var.tar.gz'로 압축 tar -zcvf var.tar.gz var/ 4. tar.gz 압축 풀기 tar -zxvf "파일명.tar.gz" ..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4. 1. 31. USB 설치미디어로 부팅하여 Windows 10/11 설치 진행하기 OS 설치가 되지 않은 제품은 USB를 이용하여 설치 디스크를 만들고 아래 과정을 통해서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설치 USB를 만들지 않았다면, 우선 설치 USB를 만드시기 바랍니다. ▶ 윈도우10, 윈도우11 설치 USB 만들기 1. Windows 10/11 USB 설치 미디어로 부팅하기 1) Windows 설치 파일이 저장된 USB 저장 장치를 PC에 연결하세요. 2) USB 저장장치로 부팅하여 설치를 진행하세요. ① PC 전원을 켜자마자부터 F10 키를 계속해서 누르세요. ② 부트 디바이스 선택창이 나타나면 키보드 방향키로 윈도우 설치 이미지가 저장된 USB 저장 장치로 이동 후 Enter 키를 누릅니다. 2. 설치 시작 1) 설치 과정이 나타나면 Windows에 적용할 설치 언어 및 기..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4. 1. 28. 윈도우10, 윈도우11 설치 USB 만들기 운영체제(Windows 11)가 미포함 되어 출시된 제품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다른 PC에서 Windows 11 설치 파일 다운로드 후 USB 설치미디어를 제작하여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1. USB로 윈도우 10/11 설치미디어 만들기 1. 설치 미디어를 제작할 USB 저장장치를 PC에 연결하세요. 2. Microsoft 다운로드 센터에서 Windows 10/11 설치 미디어 만들기에서 지금 다운로드를 클릭하세요. 윈도우 11 설치 미디어 만들기 (Microsoft 다운로드) 윈도우 10 설치 미디어 만들기 (Microsoft 다운로드) 3. 'Windows 11 설치 프로그램' 창이 나타나면 '관련통지 및 사용조건' 에서 '동의'를 클릭하세요. 4. 언어 및 버전을 선택 후 다음을 클릭 합..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4. 1. 28. 노트북 마우스 연결시 터치패드 끄기 터치패드 설정 창 띄우기 아래와 같이 윈도우키 + Q (또는 S) 를 눌러서 " 터치패드 " 검색 아니면 설정 > Bluttooth 및 잧치 > 터치패드 > 터치패드 > 세부 설정 설정 > Bluttooth 및 잧치 > 터치패드 > 세부 설정 ③ 번 위치의 아래를 누르면 세부 설정 창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마우스가 연결될 때 터치 패드 켜기"를 끄시면 됩니다.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4. 1. 28. 윈도우11 설치시 네트워크 연결 넘어가는 방법 만약 네트워크 연결 과정에서 멈추고 진행이 안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여 조치해주세요. OS가 없는 노트북을 구입하고 윈도우11을 USB에 구워서 윈도우10처럼 설치하다 보면, 값지가 네트워크 연결 부분에서 넘어가지가 않습니다.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다음 버튼이 활성화 되지 않습니다. ㅠ.ㅠ 이거 갑자기 현타가 옵니다. 뭐지 해외 노트북을 구입해서 그런가? 하지만 다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1. 명령 프롬프트 띄우기 SHIFT + F10 눌러서 명령 프롬프트 창 띄우기 2. OOBE에서 인터넷 없음 옵션 활성화 OOBE\BYPASSNRO ※이 명령어 입력후 재부팅이 될 수도 있습니다. 3.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 버튼 클릭 인터넷에 연결되지 있지 않음 버튼이 ..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4. 1. 28. 볼륨 새도우 (Volume Shadow Copy, VSC) 볼륨 새도우 (Volume Shadow Copy, VSC)는 Microsoft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사용자 및 시스템 파일의 이전 버전을 자동으로 백업하고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1. 볼륨 새도우 (Volume Shadow Copy)란? ○ 배경: 볼륨 새도우는 Windows 운영 체제의 파일과 폴더를 이전 버전으로 백업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파일이나 폴더가 삭제되거나 수정된 경우 복원이 가능하며, 파일 복사 또는 백업 중에도 사용자가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활용: 볼륨 새도우는 데이터 복원, 파일의 이전 버전 검색, 파일 복사 또는 백업 시 데이터 일관성 유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주로 파일을 실수로 삭제하거나 파일의 이전 상태로 복원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 레지..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3. 11. 6. 리눅스 (우분투/칼리) 설치일 확인 파일시스템 생성일을 확인하여 우분투 설치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디바이스명 확인 fdsik -l 명령어로 디바이스 확인 linux 가 설치된 디바이스가 sda5 임을 확인합니다. 2. dumpe2fs 로 파일시스템 상세정보 확인 dumpe2fs 명령어는 파일시스템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즉, 파일시스템의 상세 내역 및 superblock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옵션 -b :badblock 지정되어 있는 정보 출력 -f : 인식이 어려운 파일 시스템에 대해 강제로 수행 -h : block group 정보를 제외하고 super block 정보만 출력 -x : 16진수 형식으로 block group 정보 출력 -V : 버전 정보 형식 : dumpe2fs 장치명 #sudo du..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2. 12. 17. 칼리(kail) 리눅스 부팅 USB 만들기 - Kali Linux USB Live balenaEtcher 다운로드 balenaEtcher(이전 이름: Etcher)는 SD 카드 및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라이브 USB로 만들기 위해 압축 폴더 뿐 아니라 .iso 및 .img 파일과 같은 이미지 파일을 저장매체에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무료 오픈 소스 유틸리티이다. https://www.balena.io/etcher/ 칼리리눅스 라이브 이미지 다운로드 kali 리눅스 라이브 이미지를 kali.org 사이트에서 Kali linux Live를 다운로드 합니다. 해당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dimage.kali.org/kali-2022.3/kali-linux-2022.3-live-amd64.iso balenaEtcher 사용하여 라이브 USB로 만들기 1). 다운로드한 이미지.. 공학속으로/운영체제 2022. 12. 6. 이전 1 2 3 다음 💲 추천 글